저자: 김민하 출판사: 아포코 출간일: 2015. 11. 6 하지만 진정한 미래에 대한 고찰은 변화를 예측한 후 자신의 비전을 구상하는 … More
Category: 미래독백
10장: 휴머니스틱 IT 기업을 창업하며
유능한 인재는 회사의 자산이다. 돈과 같은 가치를 지닌 회사의 자산이다. 나는 대학이든 회사든 정부든 할 것 없이 인재를 등용하지 않는 … More
9장: 사회격과 커리어 코치
2015년 5월에 출간한 <와인독백>을 통해 나는 사회격(societality)이라는 개념을 소개하였다. 개인의 인격에 대비한 개념으로 한 사회가 가지는 거시적 차원의 인격을 의미한다. 능력과 재능을 … More
8장: 영어수업에 대한 단상
누구나 국제경쟁력이라는 실용적 가치를 이야기한다. 영어수업을 통해 꾸준히 영어실력을 키워야 국가 간 의존도가 심화되는 글로벌 사회에서 외국인들과 경쟁 또는 협업을 … More
7장: 심리적 운동 이론과 의사결정
1997년 12월 미국 오하이오. 당시 나는 무척 침울해 있었다. 언론학 석사학위는 마쳤는데 박사과정 입학허가를 받지 못해서 임시로 다른 학부에 적을 … More
6장: 대화적 뉴스를 만든 나의 무의식
2011년 초 <한국언론학보>에 게재된 뉴스인류학이라 제목 붙여진 나의 논문은 사실 그 이전부터 내가 대화적 뉴스라는 이름으로 고안해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쓴 … More
5장: 수다가 아닌 대화를 위한 문화예술과 ICT 융합
우리가 지각하는 현실의 실체는 무엇인가.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인가 아니면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인가. 대학 강단에서 저널리즘을 가르친 지 어언 7년째에 접어들며 … More
4장: 소셜콘텐츠는 바보상자를 극복하는 길
나는 요즘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<마이 리틀 텔레비전>을 보면 기분이 묘하다. 마리텔의 특징 중 하나는 시청자들이 실시간으로 SNS를 통해 보낸 … More
3장: 휴머니즘이 결합된 IT를 제안하며
나는 2013년 한국언론학회 봄철정기학술대회에 논문을 발표하려고 제안서를 제출했다가 거절을 당했다. <SNS의 패러독스: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바라 본 자아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관계>라고 제목 … More
2장: 내 인생의 굴레, 인문학
지금은 이용자 편의를 한층 높인 스마트 기반 컴퓨터들이 대세이지만 대학을 다닐 때 즈음 막 초창기 PC를 접했던 나는 컴맹에 속했다. … More